1편 - https://keepgoingdiary.tistory.com/21
펌 뱅킹(Firm Banking)이란? - 인터넷 뱅킹과 펌 뱅킹 차이점(1)
최근 자주 발생하는 금융 사고 및 횡령 사고에 대해 대안 방향으로 펌 뱅킹을 도입하는 기업 및 공공기관이 늘고 있다. 도대체 펌 뱅킹이 무엇인지 여러 글을 찾아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가
keepgoingdiary.tistory.com
앞선 포스팅에서 펌 뱅킹의 보안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.
중요한 부분은 펌 뱅킹을 사용하려는 고객(법인 회사)들은 기존 인터넷 뱅킹을 대부분 사용하던 이용자들이라
인터넷 뱅킹과 많은 비교를 하게된다.
보안 관련하여 내용을 다루었으며 1 편 글에 이어서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겠다.
세번째, 또 보안성이다.
펌 뱅킹은 인터넷 뱅킹에서 사용하는 인증서와 OTP가 없다.
대신 은행에서 발행해주는 기관코드라는 것으로 연결을 한다.
기관코드는 펌 뱅킹 사용자가 펌 뱅킹 약정을 영업점에서 맺고나면 펌 뱅킹 기관코드가 요청한 서비스가 포함되어 나온다.
해당 기관코드는 펌 뱅킹 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무형의 코드이기 때문에 앞서 말한 인증서와 OTP 처럼 외부 유출이
불가하다. 또한, 펌 뱅킹은 업무 시간을 각자 정할 수 있다.
예로 업무 시간이 9To6라고 할때 펌 뱅킹 개시 업무 시간을 08시로 설정, 닫는 시간을 22시로 설정하면
해당 시간에만 지급 및 조회 업무를 사용하고 이후 시간에는 사용이 불가하다.
이런 점이 보안을 중요시 하고 자금 사고를 막는 하나의 장점이 될 수 있다.
네번째, 안정성이다.
물론 펌 뱅킹도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.
다만 인터넷 뱅킹은 국민 모두와 기업체 모두가 사용하는 범용(공중망)이므로
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트래픽이나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.
펌 뱅킹은 인터넷 뱅킹 사용에 비해 사용자도 적다. 물론 거래량도 그만큼 적을 수 밖에 없다.
다섯번 째, 편리성이다.
인터넷 뱅킹은 지급 시 OTP 와 인증서가 필요하다.
지급 시 인증서 비밀번호(로그인 시 사용), 계좌 비밀번호, OTP 입력 등등 여러 단계를 거치게된다.
펌 뱅킹은 이미 은행과 약정이 맺어진 기관코드를 통하여 지급되므로 해당 절차가 필요 없다.
이런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는게 토스 뱅크 서비스다. 개인이 사용할 수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.
토스에서 돈 받거나 광고하는 거 아니니 오해는 마시고..
토스뱅크 앱에서 이체 시 인증서 로그인이나 계좌 비밀번호 입력, OTP 입력이 없다.
단순히 계좌 번호 입력 후 금액 입력 , 전송 , 끝..
이게 펌 뱅킹이라고 보면 된다.
여기서 의문이 든다. 저러면 쉽게 자금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가? 인증 자체가 없는데...
밖에서 지급 업무를 못하면 불편한거 아닌가??
앞 선 내용처럼 회사 내, 직장 내에서 지급 업무를 처리하고 인증 자체는 펌 뱅킹 시스템에서만
지급 처리가 가능하므로 외부에서 사용이 불가하므로 오히려 보안성이 높다.
사무실 내에서 인증서 , OTP 입력한다고 자금사고 발생하지 않는 건 아니다.. 대부분 자금사고는
다른 곳에서 발생한다.
물론 보안과 편리성은 서로 상반되어 있지만 그래도 최근에 펌 뱅킹을 사용하려는 움직임은
자금사고 최소한의 방지 및 내부 보안 절차에 따라 도입하려는 곳이 많다고 본다.
다음 포스팅은 펌 뱅킹의 단점에 대해 올리도록 하겠다.
펌(Firm Banking) 뱅킹이란? - 펌 뱅킹의 단점 (0) | 2024.08.08 |
---|---|
펌 뱅킹(Firm Banking)이란? - 인터넷 뱅킹과 펌 뱅킹 차이점(1) (28) | 2024.03.06 |
아이폰 15 PRO MAX 256G 2주 사용기 (2) | 2024.02.26 |
RealForce R3 텐키리스 블루투스 3개월 사용 후 장단점 (0) | 2024.02.26 |
윈도우 파일삭제 스케쥴 배치파일 만들기 (0) | 2024.02.26 |